하버드대학교가 올해 주목할 만한 결정을 내렸다. 가계 연소득이 20만 달러(한화 약 2억 9천만 원) 이하인 학생들에게 등록금뿐 아니라 기숙사비와 생활비까지 포함된 전액 장학금, 즉 ‘풀라이드(Full Ride)’ 재정보조를 제공하겠다고 발표한 것이다. 이 정책은 작년 MIT가 도입한 바 있는 동일한 제도를 따라가는 것으로, 미국 내 상위권 대학들이 경제적 배경에 관계없이 우수 인재에게 기회를 제공하려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는 신호로 읽힌다.
특히 이번 결정이 더욱 주목받는 이유는 이 혜택이 미국 시민권자나 영주권자뿐 아니라 국제학생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점 때문이다. 즉, 부모님의 연소득이 20만 달러 이하라면 국적에 관계없이 학비와 생활비 부담 없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미국 명문대들이 글로벌 인재 유치를 위해 더욱 열린 정책을 펼치고 있다는 증거다.
미국 대학의 장학금 제도에서는 ‘풀튜이션’과 ‘풀라이드’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한다. 비슷해 보이지만 지원 범위에서 큰 차이가 있다.
하버드의 이번 발표는 기존의 등록금 중심 지원에서 생활 전반을 보장하는 ‘풀라이드’ 방식으로 한 단계 도약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하버드와 MIT는 재정보조를 신청하는 학생을 선발할 때, 그들의 가정형편을 아예 고려하지 않는 Need-Blind 입학 정책을 운영 중이다. 이 말은 즉, 입학 심사에서 재정 상태가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일단 합격하면 가정 상황에 따라 100% 장학금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정책이 국제학생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사실이다. 대부분의 명문대는 미국 내 학생에게만 Need-Blind 정책을 운영하고, 국제학생에게는 Need-Aware(재정 상태를 고려하는 입학 심사) 정책을 적용하기 때문에, 하버드와 MIT는 국제학생에게 특히 더 매력적인 선택지가 된다.
이번 하버드의 정책 변화는 미국 현지 저소득층 학생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학생들에게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의미 있는 변화다. 그동안 학비와 생활비 부담으로 인해 명문대 진학을 포기했던 많은 유학생들에게도 새로운 가능성의 문이 열린 셈이다.
다만, 이러한 재정보조를 받기 위해서는 FAFSA(미국 연방학자금 지원 신청서), CSS Profile(대학위원회 재정보조 신청서) 등 복잡한 절차를 정확히 진행해야 하며, 국제학생은 미국과 다른 세금 체계로 인해 서류 작성 시 혼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미국 대학 진학을 고려 중인 학생이라면, 세계유학&교육과 같은 전문 컨설팅 기관을 통해 안정적으로 절차를 준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하버드와 MIT 외에도 국제학생에게 Need-Blind 입학 및 Full-Need 재정보조를 제공하는 대학들이 존재한다. 다음 칼럼에서는 이러한 대학들을 소개할 예정이니, 미국 명문대 진학을 고려 중인 학생이라면 꼭 참고해 보시길 바란다.